LDPE vs HDPE 위생장갑 차이: 용도에 맞는 비닐장갑 선택 가이드


다이소나 마트에서 위생장갑(비닐장갑)을 구매하려 할 때, 어떤 제품은 LDPE, 어떤 제품은 HDPE라고 적혀 있어서 어떤 걸 골라야 할지 고민되는 경우가 많다.

매장에 진열된 제품을 보고 갑자기 고민이 생겨 ChatGPT로 검색하려다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문장으로 입력하기 귀찮아서 네이버나 구글에서 검색하다 이 글을 발견했을 수 있다. (현명한 선택이다!)

LDPE와 HDPE의 특징과 장단점을 알면 용도에 맞는 장갑을 고르는 데 도움이 된다.

✅ LDPE: 부드럽고 위생적인 요리용 장갑

LDPE(Low Density Polyethylene)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, 밀도는 0.915~0.935g/cm³는 구매 결정과 크게 상관없으므로 생략해도 된다.

LDPE 소재는 투명하고 밀도가 낮아 부드럽고 신축성이 뛰어나다.

LDPE의 장점

음식이 잘 달라붙지 않아 위생적이다.

바스락거리는 소리가 적어 조용한 환경에서도 사용하기 좋다.
(새벽에 몰래 치킨을 먹을 때 특히 좋다.)

두툼하고 신축성이 뛰어나 내구성과 착용감이 우수하다.

LDPE의 단점

비싸다.

LDPE 추천 용도

음식을 손질, 조리하거나 먹을 때 등 위생이 중요한 환경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.

최근 LDPE 제품들의 겉면이나 포장을 자세히 살펴보면 요리 용도로 사용하라고 표시된 경우도 많다.

✅ HDPE: 저렴하고 실용적인 청소용 장갑

HDPE(High Density Polyethylene)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, 밀도는 0.941~0.965g/cm³이다.

HDPE 소재는 반투명하고 밀도가 높아 뻣뻣하며, 찢어짐에 강하고 얇게 만들 수 있다.

HDPE의 장점

가격이 저렴한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. 다이소에 진열된 HDPE와 LDPE 위생장갑을 비교해 보면 개당 가격이 HDPE가 더 저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또한 가볍고 통기성이 좋아 가벼운 착용감을 제공하며 손에 땀이 덜 찬다.

HDPE의 단점

쉽게 찢어진다. 앞서 '찢어짐에 강하다'라고 했는데, 재료 자체는 찢어짐에 강하지만 이 때문에 더 얇게 만들다 보니 결과적으로 LDPE 보다 잘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.

사용할 때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도 단점인데, 조용한 환경에서 거슬릴 수 있다.
(치킨을 몰래 먹을 수 없다.)

HDPE 추천 용도

청소, 쓰레기 분리수거 등 짧게 사용하는 간단한 작업에 적합하다.

주유소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비닐장갑도 대부분 HDPE다.

✅ LDPE vs HDPE: 헷갈리지 않게 기억하는 법

밀도와 이에 따른 두께로 장단점을 유추하면 더 쉽게 기억할 수 있다.

LDPE는 저밀도라 투명하고 소리가 적게 나며,

두껍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다.

HDPE는 고밀도라 반투명하고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나며,

얇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가볍지만 쉽게 찢어진다.

✅ LDPE와 HDPE 비교표: 상황별로 어떤 장갑을 선택할까?

LDPE vs HDPE 위생장갑 비교
구분 LDPE (저밀도) HDPE (고밀도)
외관 투명, 부드러움 반투명, 뻣뻣함
소리 소리 적음 바스락거림 큼
두께 두꺼움 얇음
내구성 잘 안 찢어짐 쉽게 찢어짐
가격 상대적으로 높음 저렴
착용감 부드럽고 신축성 좋음 가볍고 통기성 좋음
추천 용도 요리, 장시간 작업 청소, 짧은 작업

✅ 진열대 앞에서 바로 고르는 위생장갑 팁

현재 진열대 앞에서 뭘로 고를지 고민된다면, 음식 조리나 섭취처럼 위생과 착용감이 중요한 경우 LDPE를, 청소나 쓰레기 분리수거 같은 간단한 작업에는 HDPE를 선택하면 된다.

댓글 쓰기

0 댓글